연말정산 때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연말정산 때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소득과 세액 공제 항목을 적극 활용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으로는 인적공제, 건강보험료공제, 신용카드등사용금액공제가 있으며, 세액공제 항목으로는 자녀세액공제, 연금계좌세액공제, 특별세액공제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제 항목을 놓치지 않고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과세표준을 낮추는 것입니다. 과세표준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으로, 과세표준이 낮을수록 세금 부담도 줄어듭니다. 이를 위해서는 소득과 세액 공제 항목을 최대한 활용하여 과세표준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연금저축이나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노후대비 금융상품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연금저축이나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의 연금계좌에 돈을 넣으면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IRP는 근로자가 자신의 노후를 위해 스스로 가입하는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세액공제 혜택은 IRP 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700만원까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간 총급여가 5,500만원 이하인 사람이 IRP 계좌에 700만원을 넣었다면, 16.5%의 공제율을 적용하여 115만 5천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또한, IRP는 예금, 펀드, 채권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어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RP는 원칙적으로 은퇴까지 장기적으로 보유해야하는 상품이므로, 중도해지 시 기타소득세와 해지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따라서, IRP를 이용하여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받으려면, 자신의 재무상황과 투자성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액을 납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합니다.
4. 정치후원금이나 기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연간 10만원 이하의 정치후원금은 전액 세액공제 대상이므로, 이를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부를 했다면 기부처에서 발행해주는 기부금 영수증을 챙겨두면 좋습니다.
5.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나 현금을 사용하고 영수증을 받으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6. 병원비나 약값 등 의료비도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본인이 직접 지출한 것만 가능하니 꼭 확인하세요.
7.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 활용하기: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이 중소기업을 다니면 소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8. 월세로 살고 있다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월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연말정산에서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Review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세계좌 3총사를 아시나요 (0) | 2024.01.18 |
---|---|
13월의 월급? 13월의 세금? 연말정산 (1) (0) | 2024.01.17 |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 (0) | 2024.01.15 |
[정부 지원] 계속고용장려금을 아시나요? (2) | 2024.01.14 |
[클렌징 패드] 나이팅게일 데일리 더마 클렌징 패드 마일드 애씨드 (0) | 2023.07.19 |